⊙종량제 요금제와 청구기준 |
|
[월간 그래프](2시간 단위 평균값 기준) |
|
 |
|
대역폭 측정 기준은 2 시간 단위 측정하여 네트웍 대역폭이 5Mbps 초과 발생하는 월간 최상위 트래픽 3 개를 제외한
최상위값을 종량제 과금 대역폭 값으로 선정 합니다.
현재 사용 중인 대역폭에 대한 사용량(트래픽) 정보는 고객에게 마이서비스의 실시간 트래픽 분석 메뉴를 통해 제공합니다.
|
|
⊙용어정리 |
|
트래픽(Traffic) |
|
IDC 의 서버에서 각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되는 데이터량으로 초록색
그래프의 전체 면적이
데이터 전송량(Traffic) 이 됩니다.
|
|
대역폭(Bandwidth) |
|
순간 데이터 최대 전송량을 가늠하는 척도로 데이터의 흐름속도를 나타냅니다.
즉 대역폭이 넓으면 넓을수록 초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량이 증가 합니다.
|
|
bps |
|
bits per second(1 초 동안 받아 들일 수 있는 전송량) |
|
⊙대역폭 5Mbps의 트래픽 환산 |
|
5Mbps 대역폭의 하루 최대 트래픽은?
5Mbps * 60 초 * 60 분 * 24 시간 = 432,000Mbps = 하루 약 54 기가 바이트의 전송량 |
|
5Mbps 대역폭으로 할 수 있는 동영상 방송의 동시 접속 몇 명?
인코딩이 100K로 되어 있는 저화질의 경우 : 5Mbps / 100Kbps = 50 명
인코딩이 300K로 되어 있는 일반화질 : 5Mbps / 300Kbps = 16 명 |
|
동시접속은 비디오방의 방숫자와 비슷합니다.
파일 재생 시간이 긴게 많다면 아무래도 같은 대역폭이라고 해도 체감하는 동시접속 처리량은 훨씬 적겠죠?
|
|